엉덩이, 다리 뒤쪽, 허리, 종아리에 걸쳐 나타나는 통증, 마비, 마비 등의 증상입니다. 좌골 신경통은 질병명이 아니라 두통이나 복통과 마찬가지로 증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좌골 신경이 자극을 받거나 압박됨으로써 발생합니다. 말초 신경 중에서도 좌골 신경은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로 연결되어 있는 매우 긴 신경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는 장소도 다양합니다.
치료하는 경우는 보존요법으로 개선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지만, 배뇨·배변 장애 등의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는 수술을 실시하는 일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척추의 허리 부분에 존재하는 요추에 이상이 생기고, 좌골 신경이 자극을 받거나 압박됨으로써 발생합니다. 과도한 운동이나, 운동 부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젊은 세대는 요추 추간판 탈장과 배상근 증후군, 고령자는 허리 척추관 협착과 요추 추간판 탈장 등의 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허리 척추관 협착의 대부분의 원인은 연령이고 발병자는 50세 이상이 많습니다. 요추 추간판 탈장은 중노동과 스포츠, 장시간 책상 작업에 의해 허리에 부담이 걸리는 등 주된 원인이 됩니다. 가능한 한 빨리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대책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엉덩이, 다리 뒤쪽, 허리, 종아리에 걸쳐 통증, 마비, 마비 등을 느낍니다. 장력과 작열감, 조임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다리 전체에 강하게 나오거나 일부분에만 강하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증상을 반복하는 동안 통증이 강해지고, 보행이나 의자에서 일어나기가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게다가 증상이 악화되면 서 있는 것만으로 힘들거나 앉아 있어도 아프거나 같은 상태가 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좌골 신경통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으로서 요부 척주관 협착과 요추 추간판 탈장이 알려져 있지만, 허리 척추관 협착 은 허리를 뒤로 휘게 하면 허리나 다리가 통증, 요추 추간판 탈장은 앞 가려졌을 때에 통증을 느낀다고 합니다.
좌골 신경통은 어디까지나 질환이 아니라 증상이므로,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을 진단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주로 문진, 진찰, 화상검사 등으로 좌골신경통의 원인을 탐구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치료방법을 검토합니다. 우선은 자신이 자각하고 있는 증상을 의사에게 전해, 의사가 보행이나 자세등을 확인한 후 통증이나 마비를 느끼는 곳을 진단해 갑니다.
척추나 근육 등의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엑스선 검사, 요추 엑스레이, CT, MRI 등 각각에 적합한 화상 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 심각한 좌골 신경통을 자기 판단으로 대처하여 악화시켜 버리는 위험성도 있기 때문에, 우선은 의사의 진단 및 지시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좌골 신경통의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대증요법이 주체가 됩니다. 우선은 수술 이외의 보존적 요법으로 시작하며 그래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나, 배뇨·배변에 장애가 나타난 경우는 수술을 검토합니다. 통증이 강한 경우에는 통증 방지 약이나 주사로 대처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보존적 요법에는 '물리요법'이나 '견인요법' 등이 있습니다. 증상에 따라 코르셋을 장착하는 '장구요법'은 허리의 불안정한 상태를 보조하는 동시에 좌골 신경통이 나기 쉬운 자세를 회피하기 위해 움직임을 제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휴식 기간을 거쳐 증상이 가벼워지면, 운동 요법을 실시하며, 운동요법은 스트레칭과 체조로 증상을 경감하는 치료법입니다.
좌골신경통의 예방, 개선에는 스트레칭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스트레칭으로 척추와 근육을 천천히 늘려 긴장을 풀면 추간판이나 척추관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장시간 같은 자세로 있는 경우가 많은 사람은 틈틈이 스트레칭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