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혈압 낮추는 방법

건강/건강정보

by 빅블로그's 2023. 1. 15. 23:55

본문

728x90

고혈압이란

몸을 움직이거나 추위를 느낄 때의 일시적인 혈압 상승과는 달리 안정 시에도 만성적으로 혈압이 높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을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어느 한쪽이라도 이 수치를 초과하면 고혈압으로 진단됩니다.

 

자각증상이 거의 없어 방치하면 심질환이나 뇌졸중 등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사일런트 킬러'라고 합니다. 염분 섭취나 비만, 스트레스, 운동 부족 등 생활습관으로 인한 요인, 체질 등 유전적 요인 외에 신장질환이나 호르몬 이상 등의 질병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습니다.

 

고혈압 원인

심장에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액에 따라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이 혈압입니다. 혈압의 높이는 심장이 혈액을 밀어내는 힘과 혈관이 퍼지는 방법으로 결정되며 혈액이 혈관벽을 누르는 힘이 강해질수록 높아집니다.

 

고혈압에는 신장 질환이나 내분비 이상, 심장이나 혈관의 이상 등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2 차성 고혈압과 주로 체질적인 요인과 다른 여러 가지 요인이 더해져 발병하는 본태성 고혈압이 있습니다.

 

본태성 고혈압은 체질적으로 고혈압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게 염분 섭취, 흡연, 과도한 음주, 운동 부족, 스트레스, 노화 등의 요인이 더해짐으로써 발생합니다. 장기간에 걸쳐 염분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혈관의 유연성이 상실되어 혈압이 올라옵니다.

 

또한 비만으로 인해 혈압을 조절하는 호르몬이나 자율신경의 기능이 흐트러지는 것도 혈압 상승의 원인이 됩니다. 즉, 체질적 요인이 큰 본태성 고혈압도 생활습관이 크게 관계되어 있습니다. 고혈압의 90%는 본태성 고혈압입니다.

 

고혈압 증상

수치상으로는 고혈압이라도 거의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눈에 띄는 증상이 없을 때 발병해 진행되는 것이 고혈압의 무서운 부분입니다. 다만 어깨 결림이나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 숨 가쁨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혈압 상태를 방치하면 혈관 벽에 항상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혈관이 딱딱해지는 동맥경화가 일어나 뇌경색이나 뇌출혈,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만성콩팥병 등의 중대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각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평소 혈압을 재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 검사 및 진단

우선 체질이 원인인 본태성 고혈압인지, 다른 장기에 원인이 있는 이차성 고혈압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합니다. 문진이나 혈액검사, 소변검사, 심전도검사, 흉부엑스레이검사 등이 기본 검사지만 상태에 따라 심장이나 경동맥 초음파(에코) 검사 등도 실시해 고혈압에 의한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검사 결과 2 차성 고혈압이 부정되면 본태성 고혈압으로 판단합니다.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될 때는 초음파 검사나 CT 검사, MRI 검사 등 정밀 검사를 통해 뇌와 심장, 신장 등에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 없는지 조사합니다.

 

고혈압  치료

생활습관 등이 악화요인으로 보이는 본태성 고혈압증의 경우 혈압상승으로 이어지는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요법을 조합하여 시행합니다. 염분 섭취량을 1일 6g 이하로 억제하는 것을 유의하고 동물성 지방을 자제하는 등의 식이요법 외에 일상적인 운동(유산소 운동), 금연, 체중 관리 등의 지도가 이루어집니다.

 

가벼운 고혈압의 경우 생활습관 개선으로 혈압이 정상화되는 경우도 있지만 식사와 운동만으로 개선이 보이지 않으면 강압제를 복용합니다.

 

강압제에는 혈관을 넓히는 작용이 있는 칼슘 길항제, 혈압을 올리는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는 ACE 저해제와 ARB, 순환 혈액량을 줄이는 이뇨제,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는 베타 차단제 등이 있으며 증상에 따라 여러 약을 조합하게 됩니다.

 

생활 습관의 재검토와 강압제를 잘 조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차성 고혈압의 경우 고혈압의 원인이 되고 있는 질환에 대한 치료를 실시합니다.

 

고혈압 낮추는 방법

강압제 복용 여부에 관계없이 생활 습관 개선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염분이 많은 식사는 혈압 상승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심장에도 악영향을 미치므로 염분을 1일 6g 정도로 억제하고, 야채나 과일을 적극적으로 섭취하고, 동물성 지방을 자제하는 등 식생활의 재검토를 의식해 실시하도록 합니다.

 

비만인 사람은 칼로리 제한으로 체중을 줄임으로써 혈압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다른 합병증 예방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운동은 하루 30분 이상 또는 주 180분 이상 유산소 운동(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는 정도의 운동)을 합니다.

 

가정에서 혈압을 측정하고 기록함으로써 자신의 평균값을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매일 정해진 시간에 측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728x90

'건강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에 좋은 음식 추천 BEST 7  (0) 2024.01.30
저칼륨혈증  (0) 2023.01.16
켈로이드  (0) 2023.01.15
통풍  (0) 2023.01.15
자궁근종  (0) 2023.01.12

관련글 더보기